리뷰_[남매의 여름밤](2020)
좋은 영화라고 하는 이 영화. 추억이 얼마나 좋은 쾌감을 자아내는지 보여주는 영화.
일본 오즈 야스지로를 좋아하는 감독이 만든 이 영화는
적당한 롱테이크와 바스트샷의 조화,
일상의 담담함을 섬세하게 보여주는 데서 재미를 찾는 점에서 정말 그의 영화를 닮아 있다.
(롱테이크: 컷을 나누지 않고 오래 보여주는 기법, 바스트 샷: 사람을 가슴 위로 가까이 보여주는 기법).
우선 줄거리를 요약하자면(스포 주의):
남매인 어린 옥주(최정윤 분)와 동주(박승준 분)는 아빠(양흥주 분)와 함께
부자였던 것으로 보이는 할아버지(김상동 분)의 마당이 있는 이층 집에서 한동안 지내게 된다.
가난 때문에...
거기에 고모부와 싸운 고모(박현영)이 들어와 합세해 살게 되며 담담한 이 가족 구성원들의 이야기가 펼쳐지다가
연로해진 할아버지를 요양원 보낸 후 집을 팔 계획을 세우는 아빠와 고모에게 옥주가 반발할 때 즈음,
할아버지의 죽음을 맡게 된다. 장례식을 치른 후 할아버지 집에 덩그러니 남은 아빠, 옥주, 동주가 밥을 먹다가
옥주가 느닷없는, 그러나 당연한 울음을 터뜨리며 영화는 끝난다.
(줄거리 끝)
아빠가 쌍거풀 수술할 필요 없다고 하자 삐진 옥주가 방문을 닫는데 인형이 걸리고,
아빠가 동주를 깨우자 학교 가야 는데 왜 늦게 깨우냐며 난리 치다가 방학인 걸 깨닫는 등
극사실주의적 연기에 유머러스하거나 아이러니한 순간들을 포착하고
정말 있을 것 같은 캐릭터에 누나의 응석? 을 다 받아주는 마음 넓은 남동생 동주 같은 판타지적 요소가 더해져 있다.
담담한 이야기들이 순차적으로 사이사이에 교차 배치돼,
산발적인 듯 보이지만 연결성이 철저하다.
짝퉁 운동화를 파는 가난한 이혼남 아빠를 둔 옥주는 나이키를 훔쳐서
남자 친구에게 선물도 하고 중고거래도 해서 할아버지 생일 선물도 사드린다.
그러던 어느 날 진품인지 확인 좀 해보자는 구매자에게 몰려 경찰서까지 가게 되면서 아빠에게 들켜서
무안하기도 하지만 운동화가 짝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실망한다.
아빠는 자신의 행위를 반성하기는 커녕 운동화가 짝퉁이었다는 것을 따지는 옥주를 받아준다.
그 사건은 할아버지 집을 팔아넘기려는 아빠에게 옥주가 반항할 때 "너도 내 신발 몰래 팔았잖아"라는 말을 듣는 빌미가 된다.
또한 남친에게 선물한 것이 쪽팔린데 남자 친구가 자랑해도 되냐고 하자
화를 내며 운동화를 벗겨서 자전거에 싣고 엄청나게 달리는 것으로 답답함을 표출한다.
묘한 코미디가 이렇게 깔려 있다.
옥주는 남동생 동주가 이혼한 엄마 만나러 가는 것을 반대하는데 동주가 기어이 엄마를 만나
귀엽게도 선물을 잔뜩 받아 들고 오자 화가 나서 때린다. 그러다 마음이 넓은 동주는 며칠 후 누나에게 라면을 끓여주고
옥주는 라면을 먹으며 때린 일을 사과한다.
그리고 동주가 못 들어오게 했던 모기장 안에 동주를 초대해 나란히 누워서 잔다.
할아버지 생신 날 동주가 춤을 추는 장면이 있는데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이혼한 엄마까지 찾아온 장례식장에서 밥을 먹다가 뜬금없이 또 춤을 춘다. 그리고 이것은 다행스럽게도 장례식장에서 잠든 옥주의 꿈이었던 것으로 귀결된다.
이 영화는 유독 함께 밥을 먹는 모습과 함께 자는 모습들이 많이 연출된다.
집안의 붉음과 정원의 푸르름, 특히 고추밭의 푸르름이 아름답고 청연한 대비를 이룬다.
할아버지가 들으시던 음악을 옥주가 계단 옆에 쪼그려 앉아 몰래 함께 듣는 장면은
돌아가시고 허전한 마지막 장면의 암전에서 크레딧이 올라가갈 때 같은 음악이 나오며 연결된다.
담담한 일상의 나열 같지만 영화를 더욱 매력적이게 만드는 요소들이 곳곳에 엿보이는 이유는
다른 가족들의 일상 같으면서도 다른 가족들에게는 없는 요소들이 있기 때문이다.
가족들은 싸우는가 싶으면 함께 밥을 먹고 있고, 수평적이며 서로 존중한다.
이런 사랑과 존중이 전반적으로 깔려 있기 때문에 힐끔힐끔 이 가족을 보게 되는 것이다.
길게 잔잔하게 가는 것이 내가 좋아하는 영화 스타일은 아니지만
평론가들도 좋아할 영화이고
본 사람은 모두 '좋은 영화'라고 할 영화이다.
이런 영화를 지루하다고 하면 자신이 오염된 사람이라는 말을 들을까봐서라도 좋은 영화라고 하게 되는 영화이다.
어쨌거나....내가 봐도 좋은 영화임에는 틀림없다.
좋고 나쁨을 떠나 잔잔하게 나의 어린 시절 여름 밤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와 고모와 고모부와 이모 등을 떠오르게 하는
담담한 쾌감이 있는 영화이다. 나의 기억과 추억을 단단해게 해주는 맛깔스런 영화이다.
추억은 정말 쾌감 중의 하나인 걸까?
*윤단비 감독님의 연출에 힘입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모든 배우님들이 연기가 자연스럽고 좋았다.
진짜 고모같은 고모 박헌영과 극사실주의 연기의 진수를 보여주는 아빠 역 양흥주 배우의 연기도 돋보였다.
'영화,엔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키 17 -평점 사이트 소개 (1) | 2025.03.01 |
---|---|
영화리뷰_[목격자] (2018)_아쉽지만 강력. 손익분기 돌파 (1) | 2025.02.27 |
단편영화 및 독립영화 대체 어떻게 배급?, 배급사 (4) | 2025.02.25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반 고흐 미술관] (6) | 2025.02.21 |
다큐 영화_직지, 활자의 시간 여행 (1) | 2025.02.21 |